천식 치료(2) - 약물, 종류, 기전, 부작용
# 기관지 확장제
1. 교감 신경 효능약 : adenyl cyclase의 활성화에 의해 cAMP를 증가시켜 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킨다.
- 1세대 : isoproterenol(주사제), trimetoquinol(기침시럽)
- 2세대 : hexoprenaline(에토스콜), salbutamol(벤토린), terbutaline(터부탈린 흡입액)
- 3세대 : tulobuterol(호쿠날린 패치), fenoterol(베로텍), formoterol(아토크, 심비코트 터부할러), clenbuterol(기침시럽), procaterol(로테롤)
- 4세대 : bambuterol(밤벡), salmeterol xinafoate(세레타이드 디스커스)
- 기타 : pseudoephedrine(슈다페드), 대부분의 교감신경 효능약들이 β2-수용체에 선택적(기관지 이와)으로 작용하는 것과 다르게 β-수용체를 직접 자극함으로써 기관지 이완 작용 외에 심박동 수 증가, 심근 수축력 증가 등이 나타난다.
- 대부분의 흡입용 β2-길항제는 속효성으로 효과가 빠르게(몇 분 내) 나타나기 때문에 급성 기관지 수축을 완화하는 데 사용하며, 대부분은 4~6시간 정도의 지속시간을 갖는다.
- salmeterol(세레타이드 디스커스)은 작용 시간이 늦기 때문에 급성 기관지 수축에는 사용하지 않지만 12시간 이상 약효가 지속되기 때문에 야간 천식 증상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 유효기간은 오픈 후 차광 보관하여 1개월이다. 흡입용 스테로이드를 같이 쓰는 것이 유지 요법에 효과적이다.
- 부작용은 용량과 관계되며, 고용량의 흡입용 β2-길항제(효능약)는 소변으로 칼륨 배설을 촉진한다.
2. 항콜린제 : 기도는 주로 부교감신경 말단에서 분비되는 콜린의 지배를 받아 기관지가 수축하며 기관지 점액 분비가 촉진된다. 항콜린제는 콜린의 작용 기전을 차단하는 약물이다.
- ipratropium(아트로벤트 흡입제) :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는 효과적이나 천식에는 단독으로 투여하지 않고 β2 교감신경 효능약과 병용한다.
- tiotropium(스피리바 레스피맷)
3. Xanthine 유도체 : cAMP를 불활성화시키는 효소를 길항함으로써 세포 내의 cAMP의 농도를 증가시켜 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킨다.
- theophylline(테올란비), aminophylline(아미노필린), diprophulline(아스코마), acepyfylline(아토필), doxofylline(액시마)
- 야간 천식 치료에 유용하기는 하지만 치료역이 좁고, 부작용이 심각하기 때문에 혈중 농도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야 한다.
4. 항히스타민제
- cromoglycate(리나크롬엠 나잘스프레이), tranlast(트라젠), epinastin(유니러지), ketotifen(자디텐), oxatomide(옥사틴), azelastine(아젭틴), ozagrel(도메난)
5. leukotriene 수용체 저해제
- pranlukast(오논, 씨투스, 프라네어), montelukast(싱귤레어), zafirlukast(아콜레이트)
# 항염증 약물
1. Corticosteroids
- 항염증 작용과 더불어 천식 억제를 위한 다양한 기전으로 작용한다.
- 천식의 악화를 중지시키기 위해 고용량(성인의 경우 prednisolone 120~180mg/day)을 단기간 사용하기도 하지만, 작용발현이 늦기 때문에 급성 기관지 경련 발작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 예방과 염증 반응 억제, 염증 조절, 치료 목적으로 장기간 사용한다.
- 흡입용 스테로이드제의 국소적 부작용은 음성 변조와 구강 칸디다증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조기구를 사용하거나, 흡입 후 입 안을 헹구어 주어야 한다.
a. 작용기전
- 염증세포 유입과 염증 반응 자체를 억제하고 점액 분비를 약화시킨다. 천식 반응 간의 화학전달물질의 유릴 저해하고 면역반응을 감소시킨다. β2-교감신경계 수용체 수를 증가시키고 prostaglandin과 leukotriene을 억제한다. 또한 대식세포(macrophage) 분화를 억제하여 폐 점막에서의 항원 인식을 약화시키고 혈관 수축으로 점막 충혈을 완화한다.
b. 약물의 종류 : hydrocortisone(하이로손: 속효성), prednisolone(소론도: 중간형), budesonide(부데코트 흡입액, 풀미코트 터부할러), beclomethasone(베코벤트분말 흡입제). fluticasone(후릭소타이드 디스커스), triamcinolone(레더코트), ciclusonide(알베스코 흡입제)
# 기타 약물
1. 진해제
- 기침은 기도와 기관지 전반에 있는 수용체의 화학적, 물리적 자극(가래, 이물질)에 의한 반사작용이며, 이 수용체는 미주신경을 통해서 연수의 해소중추와 연결되어 기침을 유발한다.
a. 중추성 진해제 : 뇌의 기침 중추에 작용하여 기침 반사를 억제한다.
- 마약성 중추성 진해제 : codein(코데인), dihydrocodein(디코데서방정)
- 비마약성 중추성 진해제 : dextromethorphan(종합감기약), carbetapentane(펜탈), tipepidine(종합감기약), levocloperastine
(프리비투스), zipeprol(레스피렌: 중추와 말초 모두에서 기침을 억제함), benproperine(코프렐: 중추와 말초 모두에서 기침을 억제함)
** 한외마약 : 비마약성 의약품에 마약 성분이 미세하게 혼합된 약물로서 신체적, 정신적 의존성을 일으킬 염려가 없다. (코푸시럽, 코데날 등)
b. 말초성 진해제
- levodropropizine(레보투스) : 감각신경에서 중추로 전달하는 구심성 신경전달을 말초 수준에서 억제시킨다.
- oxolamine(페브론 시럽) : 목 점막의 기침 수용체에 직접 작용하여 기침을 억제하며, 기관지 경련에 대해 직접 작용하여 진경작용을 나타낸다.
2. 거담제
a. 자극성 거담제 : 기도의 점액분비를 촉진하고 섬모운동 촉진으로 기침을 유발하여 가래를 뱉게 한다.
- bromhexine(비졸본), ambroxol(록솔), sobrerol(소부날), guaifenesin(종합감기약)
b. 용해성 거담제 : 점조한 기관지 분비액(객담)을 용해, 액화해서 객출을 용이하게 하는 약물
- acetylcysteine(뮤테란), letosteine(레토졸), carboxymethylcysteine(리나치올), erdosteine(엘도스), trypsin(혼합제), ribonuclease(혼합제)
'약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식의 이해(1) - 정의, 증상, 병리, 종류 (0) | 2025.07.03 |
---|---|
고지혈증 약물 치료(2) - 작용 기전, 약물 분류, 영양 요법 (0) | 2025.07.03 |
고지혈증 치료 약물(1) - 지방 종류, 약물 기전, 분류 (0) | 2025.07.03 |
고혈압 치료 약물(2) - 작용 기전, 분류, 약물 선택, 영양제 (0) | 2025.07.02 |
고혈압 치료 약물(1) - 작용 기전, 분류, 혈압약 (0)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