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주로 혈장 중성지방을 저하시키는 약물
인상에서 흔히 보는 고중성지방 혈증은 지방뿐만 아니라 탄수화물, 단백질 등 음식물 과다 섭취가 1차 원인이겠지만 알코올 섭취,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 신증, 약물(estrogen, retinoid, thiazides, corticosteroid)에 의한 2차성인 경우가 상당히 많다.
a. gemfibrozil(로피드)
- 기전 : 간에서 VLDL 생성 억제하여 혈중 VLDL을 제거하고 HDL의 혈장농도를 상승시킨다.
- 복용시간 : 아침, 저녁 식전 30분 (위장 장애 시 음식과 함께 복용)
- 부작용 : 근무력증, 근육통, 어지러움, 시야몽롱, 설사, 오심, 구토
b. clofibrate, bezafibtate(베자립), fenofibrate(리피딜슈프라), etofibrate(리포멜즈)
- 기전 : lipoprotein lipase 활성을 촉진하여 VLDL 분해를 촉진하여 혈액으로의 중성지방 배출과 이동을 저하시킨다. 혈장 콜레스테롤도 완만하게 저하시킨다.
- 복용시간 : 식후 즉시 복용한다.
- 부작용 : 근무력증, 근육통, 피부발진, 광알레르기, 담석형성의 위험성이 있다.
3. 기타 약물
a. nicotinic acid
- 기전 : 중성지방 합성을 감소시키고, 간에서의 VLDL 분비를 저하시켜 LDL 생성을 억제한다. HDL 콜레스테롤의 증가효과도 뚜렷하다.
- 대량 투여로 지질 저하 작용을 나타내고 비타민 작용과는 무관하다.
- 투약 후 수 시간 후에 중성지방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며 콜레스테롤은 수 일 후에 저하된다.
b. ezetimibe(이지트롤)
- 기전 : 소장에서 콜레스테롤 흡수를 억제한다. 장-간 순환하는 담즙 콜레스테롤 흡수도 억제하기 때문에 콜레스테롤 섭취량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statin계열 약물 기본 용량과 병용투약 시 statin의 최대용량 단독 치료에 의한 LDL 콜레스테롤 강하 효과가 나타난다.(statin 고용량 투여에 의한 부작용 위험성을 피할 수 있다.
- 약물 복용 90분 이내에 효과 발현이 시작한다.
- 반감기(22시간)가 길어서 하루 중 일정 시간에 1회 복용하면 된다.
- 지용성 비타민, 중성지방 흡수에 영향이 없으며 담즙 콜레스테롤 합성에도 영향이 없다.
c. 담즙 결합수지(cholestyramine)
- 수지는 장에서 흡수되지 않고, 장관 내에서 담즙산과 결합하여 대변으로 배출된다. 담즙산이 적어지면 콜레스테롤의 흡수와 이동이 저하된다. 콜레스테롤은 불용성이므로 담즙산 없이는 흡수와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 고지혈증에 좋은 영양요법
1.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CoQ10, 레시틴 섭취
2. 저 당지수 탄수화물, 저칼로리 식이, 고 식이섬유(현미, 전곡, 과일, 야채) 섭취
3. 견과류를 통한 지방산
4. 홍국 등 효소제제
5. 폴리코사놀
6. 포화지방, 트랜스 지방을 불포화지방(특히 오메가 3)으로 대체 섭취
7. 단백질 섭취(견과류, 대두, 콩류 등 식물성 단백질
8. 저지방 유제품 섭취
- 위의 영양요법은 LDL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낮춰주는 반면에 HDL 콜레스테롤을 올리는데 도움을 주며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켜 준다.
## 레시틴
담낭은 지방(콜레스테롤, 지방산 등)과 간 독소를 담즙이라는 형태로 처리, 배설하는 중요한 쓰레기통이다. 콜레스테롤이 배설되지 못하고 딱딱하게 굳어버리면 그게 바로 담석이 된다.(칼슘이 많이 뭉쳐서 생기는 칼슘염 담석도 20% 정도 차지한다.) 비누가 기름때를 풀어내듯 레시틴은 담낭 안의 기름을 유화시켜 담낭에서의 기름 배설을 돕는다. 레시틴 농도가 저하되면 기름이 풀어지지 못하므로 담석의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즉, 레시틴은 담낭 안의 콜레스테롤을 포함한 지방과 혈액 내 독소를 제거하는 청소부 역할을 합니다. 참고로 레시틴은 비타민C 2000mg과 병용 시 효과가 상승한다고 한다. 여기서 레시틴은 단일 성분명이 아니고 choline, inositol 등 인지질의 복합 혼합체를 말한다. 이 레시틴 구성성분인 choline과 cysteine(강력한 항산화제)으로 구성된 간장약이 알코올성 지방간에 유용한 것이다.
## 당지수(GI 지수, glycemic index)
- 모든 탄수화물은 체내에서 포도당으로 변하여 흡수된다. 포도당을 섭취했을 때의 혈당 상승 치를 100으로 놓고 각 식품을 섭취했을 때의 혈당치 상승률을 수치로 표시한 것이 당지수이다.
- 당지수가 높은 음식을 섭취하면 일시적으로 과도하게 많은 인슐린이 분비되고 이는 중성지방의 저장을 늘어나게 한다.
- 당지수 70 이상 : 바게트빵(93), 쌀밥(92), 도넛(86), 감자(85), 떡(85), 우동(85), 찹쌀(82), 옥수수(75), 라면(75)
- 당지수 59~69 : 카스텔라(69), 보리밥(66), 호밀빵(64), 아이스크림(63), 치즈피자(60), 고구마(55)
- 당지수 55 이하 : 바나나(52), 포도(46), 양배추(26), 사과(36), 귤(33), 토마토(30), 우유(25). 미역(16), 땅콩(14)
'약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식의 이해(1) - 정의, 증상, 병리, 종류 (0) | 2025.07.03 |
---|---|
고지혈증 치료 약물(1) - 지방 종류, 약물 기전, 분류 (0) | 2025.07.03 |
고혈압 치료 약물(2) - 작용 기전, 분류, 약물 선택, 영양제 (0) | 2025.07.02 |
고혈압 치료 약물(1) - 작용 기전, 분류, 혈압약 (0) | 2025.07.02 |
당뇨 치료 약물(2) - 인슐린주사제/케톤/영양/운동 (0) | 202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