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리학

고혈압 치료 약물(2) - 작용 기전, 분류, 약물 선택, 영양제

by 핵심정보상자 2025. 7. 2.

고혈압치료약물(1)에서 이어집니다.

 

4. 계량기 조절 

4-1.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ACE 억제제)

 

  - 기전 : 신장에서의 RAAS(Renin-Angiotensin-Aldosteron System) 과정 중 ACE를 억제하여 강력한 혈관 수축 작용이 있는 angiotensinⅡ의 생성을 억제하고 이는 혈관이 확장되어 혈압이 내려가게 해 준다. 또한 안지오텐신 억제되면 ACE에 의한 bradykinin의 분해가 억제되고 이는 prostaglandin의 생합성을 증가시켜 혈관 확장, 혈압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신장혈관 수축, 신장혈관 비후, 혈액량 등을 안정화시키는 신장 보호 작용도 있어 당뇨병성 사구체 병증의 진전을 느리게 하므로 당뇨환자의 혈압저하제로 적합하다.

  - 체액량 조절 작용으로 심장이 부담을 감소시켜 심부전 증상(부종, 호흡곤란) 환자에 우선 사용한다.

  - 뇨량 증가 작용으로 병용하는 이뇨제의 효과가 증가할 수 있어 환자에 따로 나트륨 소실 우려도 있다.

  - 부작용 : 마른 기침 지속 시에는 ARB제제로 전환한다. 이는 bradykinin, prostaglandin 등이 기도의 수용체에 작용해서 기침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혈압강하로 인한 어지럼증, 두통, 피로감이 생길 수 있다. 두드러기를 동반한 가려움, 면역저하 증상, 혈관 신경성 부종, 입술이나 얼굴 부종 등이 발생하면 복용을 중단한다. ACE저해제에 의한 태아의 선천성 기형보고가 있다.

  - 종류

    * benazepril(시바쏀), enalapril(베아텍), perindopril(아서틸), quinapril(아큐프릴), ramipril(트리테이스), trandolapril(오드릭), fosinopril(모노프릴), lisinopril(제스트릴), captopril(카프릴), moexipril(유니바스크)

 

4-2. 안지오텐신 Ⅱ 수용체 차단제(Angiotensin Receptor Blocker, ARB)

  - 기전 : 신장에서의 RAAS(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 과정에서 강력한 혈관수축작용이 있는 angiotensinⅡ수용체에 길항적으로 작용하여 혈관수축과정을 차단한다. ACE억제제와 달리 bradykinin의 혈중 농도에 대한 영향이 없어 ACE억제제의 부작용인 마른기침 증상이 현저히 개선된다.

  - 단백뇨 감소효과와 신장보호 효과가 있어 신장질환의 진행을 늦추는 효과가 있다.

  - 체액량 조절작용으로 심장의 부담을 감소시켜 심부전증상에 우선 사용한다.

  - ACE억제제와 마찬가지로 뇨량 증가 작용이 있어 병용하는 이뇨제의 효과가 증가할 수 있어 환자에 따로 나트륨 소실 우려도 있다.

  - 저용량의 이뇨제와 병용 시 더욱 효과적이다. 따라서 복합제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 종류

    * losartan(코자), valsartan(디오반), irbesartan(아프로벨), candesartan(아타칸), telmisartan(프리토), olmesartan(올메텍), eprosartan(테베텐)

 

5. 이뇨제

  - 혈액의 양을 줄여서 혈관의 압력을 낮춘다.

  - 종류

   a. 삼투성이뇨제

   b. 탄산탈수효소 억제제 : acetazolamide(다이아막스)

   c. thiazide 이뇨제 : hydrochlorthiazide(다이크로짇), indapamide(후루덱스)

   d. 강력이뇨제(Loop 이뇨제) : furosemide(라식스), torasemide(토르셈)

   e. K+ 보존성 이뇨제 : aldosterone 길항약 - spironodactone(알닥톤), triamterene(트리암테렌), amiloride(아미로)


## 혈압약의 단계별 약물선택 ##

 일반요법 → 1차 약물 치료 → 1차 약물 용량 증가 또는 2차 약물 추가 또는 2차 약물 대치 → 3차 약물 치료

  - 1차 약물 : 이뇨제, 베타차단제

  - 2차 약물 : ACE억제제, 칼슘차단제, 베타차단제

  - 3차 약물 : 보완용 강압제 추가, 이뇨제 추가, 삼중처방 용량 최대화

 

* 주의 약물 :

노인 : α차단제

천식/COPD : β차단제, ACE억제제

임신 : ACE억제제

고지혈증 : 이뇨제, β차단제

울혈성심부전 : β차단제, verapamil

골다공증 : Loop 이뇨제

통풍 : 이뇨제

 

# 치료 가이드 라인 #

1. 치료 목표 : 심혈관 위험요인 감소, 표정장기의 손상 최소화, 유병률 감소, 사망률 감소

2. 비약물요법 : 체중감량, 식이요법, 유산소운동, 금연

3. 약물요법

## 고혈압 환자에게 좋은 영양제 ##

  - 오메가3 : 중성지질을 줄여주고 혈관의 유연성 증가시켜 준다. 또한 혈전 용해도 증가로 혈류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

  - 은행잎 추출물 : 말초혈관 확장, 혈전 생성방지, 강력한 항산화 효과, 근육통증 완화에 효과가 있다.

  - 코엔자임Q10 : 혈관막 안정화와 혈행 개선을 통한 말초혈관 저항성 감소로 혈압 강하 작용이 있다.

  - 유산균 : 장내 유해균 억제로 혈액을 맑게 해 준다.

  - 칼륨 : 자연적인 이뇨제 역할을 한다.(감자, 바나나, 붉은 콩, 오렌지 등)

  - 칼슘 : 관상동맥 이완성 조절에 중요하다.

  - 마그네슘 : 혈관 평활근의 긴장 및 수축을 억제한다.

  - Vit A, C, E, Se : 항 동맥경화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