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리학

고혈압 치료 약물(1) - 작용 기전, 분류, 혈압약

by 핵심정보상자 2025. 7. 2.

"혈압이 높다"라는 것은 "혈관이 감당해야 하는 혈액의 압력이 높다"라는 것이다. 심장이 물을 이동시키는 펌프이고 혈관이 수도관이라고 하면 수압이 너무 높은 상태가 고혈압이다. 이는 펌프에 과부하를 일으키고 이동통로인 수도관에도 무리가 된다. 이 수도관과 펌프를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수압을 조절해야 한다.

 

혈압을 낮추는 방법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1. 혈관을 넓혀준다.
  2. 혈관을 수축시키는 "칼슘"의 작용을 막는다.
  3. 심장수축 작용에 관여하여 혈액의 방출량을 줄인다.
  4. 혈액의 흐름을 체크하여 혈액을 늘리는 신장의 역할을 막아본다.
  5. 혈액의 부피를 줄인다.

1. 혈관 넓히기 - 혈관확장제

  - 혈관평활근에 직접 작용하여 혈관을 확장시킨다.

  - 종류

   a. 질산염, 아질산염 제제(주로 관상동맥 확장 작용으로 협심증에 사용한다.) : nitroglycerin(니트로글리세린), isorbide mononitrate(임듈), isorbide dinitrate(앤지비드, 이소켓)

   b. dipyridamol(페르산친)

   c. trimetazidine(바스티난)

   d. nicorandil(시그마트)

  - 부작용 : 복용 초기에 두통, 어지러움 등이 있을 수 있다.

 

2. 혈관 수축 막기 - 칼슘 길항제(Calcium Channel Blocker, CCB)

  - 칼슘 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칼슘을 차단함으로써 심근 수축력을 감소시키고, 관상동맥과 말초혈관을 확장시킨다.

  - 협심증, 고혈압, 부정맥 치료에 사용한다.

  - 종류

   a. benzodiazepine계 : 심근수축 감소 현상이 강하고 심장선택성이 있다.

      * diltiazem(딜테란, 헤르벤)

   b. phenylalkaylamine계 : 심근수축 감소 현상이 강하고 심장선택성이 있다.

      * verapamil(이솝틴)

   c. dihydropyridine계 : 혈관 선택성이 강하다.

      * nicardipine(페르디핀), nifedipine(아달라트, 니페디핀), nimodipine(니모디핀), amlodipine(노바스크, 아모디핀), felodipine(디로핀, 스프렌딜), manidipine(마디핀), nitrendipine(니트렌, 바이프레스), benidipine(코니엘), nilvadipine(니바딜), tsradipine(다이나디핀), banidipine(올데카), lacidipine(박사르), lecardipine(자나디핀), cilnidipine(시나롱), efonidipine(핀테)

  - 부작용 : 혈관 확장으로 인한 두통, 안면 홍조, 어지러움, 발목 부종, 과도한 잇몸 증식 등이 있다.

  - 맥박 빨라짐 또는 느려짐, 불규칙한 맥박, 15분 이상 지속되는 가슴 통증, 무력감, 호흡 곤란, 피부 발진, 눈이나 피부가 황색으로 변하거나 진해질 때에는 복용을 중단한다.

 

3. 심장 박동 조절 - 교감신경차단제(β-blocker, BB)

  - 아드레날린(=에피네프린)은 교감신경 말단에서 분비되는 화학전달 물질이다. 아드레날린을 받아들이는 수용체는 α1, α2, β1, β2로 구분되며 α1에 작용하면 혈관수축, 전립선 및 방광의 괄약근 수축이 일어나고 β1에 작용하면 심장수축, 심박수 증가가 일어난다. 반대로 차단하여 고혈압 치료에 이용할 수가 있다. β2에 작용하면 기관지 및, 자궁 이완이 일어난다.

  - 다른 혈압강하제에 비해 부작용이 적은 편이고 이뇨제와 병용 시 더 효과적이다.

  - 종류

   a. β1 선택성 차단제 : 심장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혈관이나 기관지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 atenolol(테놀민), betaxolol(켈론), metoprolol(베타록), celiprolol(셀렉톨), bisoprolol(콩코르), nebivolol(네비레트)

   b. α , β 선택성 차단제 : 심장 수축, 심박수 조절에 혈관확장까지 이중효과

      * carvedilol(딜라트렌), labetalol(트란데이트: 임신성 고혈압에 사용), amosulalol(라우간)

   c. 비선택성 β 차단제 :  β1, β2를 모두 차단하여 폐쇄성 폐질환 환자는 피해야 한다.

      * penbutolol(베타프레신), proprannolol(인데놀), nadolol(코바란)

  - 부작용

   a. 숨 가쁨, 흉통, 서맥, 수족냉증

   b. 중추신경계 부작용(두통, 어지러움, 졸음, 불면, 환각, 수면장애 등)

   c. 혈당수치의 불안정

   d. 저혈당 증상인 빈맥을 억제한다.

   e. 성기능 장애 발생 시 다른 계열의 약으로 바꿔서 복용한다.

   f. 슈도에페드린은 β차단제의 약효를 감소시킨다.

   g. 시각장애, 안구건조 시 복용을 중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