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노란봉투법 완벽가이드 (2025 최신): 핵심 내용, 쟁점, 영향, 일정 총정리
업데이트: 2025-08-23

노란봉투법 완벽가이드 (2025 최신)

한눈 요약: 노란봉투법은 원청 등 실질적 사용자성을 인정하고, 노동쟁의의 범위를 넓히며, 정당한 노조 활동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를 제한해 하청·특고·플랫폼 노동자의 권리를 보강하는 법 개정안입니다. (출처 [1] [2] [3])

1) 노란봉투법이란?

정식 명칭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조법)’ 개정(주로 제2조·제3조)입니다. 핵심은 ➊ 사용자 범위 확대(원청 등 실질적 지배력 포함), ➋ 노동쟁의 범위 확장, ➌ 손해배상 청구 제한 등입니다. (출처 [1], [2])

2) 2025년 8월 현재 진행 상황

  • 2025-07-28: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통과(개정안 확정). (출처 [1], [2])
  • 2025-08-23: 본회의 상정, 여야 필리버스터 공방 중. (출처 [3])
  • 배경: 2023·2024년 본회의 통과 후 대통령 거부권 행사로 무산된 전례. (출처 [4])

3) 주요 내용 핵심 정리

항목현행개정안 요지
사용자 정의사업주·경영담당자 중심실질적 지배력 있는 자도 포함
노조 가입 요건근로자 외 가입 시 노조 아님요건 삭제 → 특고·플랫폼 포함
노동쟁의 범위근로조건 ‘결정’ 중심경영상 결정·단협 위반 등까지 포함
손해배상 제한정당한 쟁의행위만 보호기타 노조 활동도 포함, 개인별 책임 감면 규정

4) 무엇이 달라지나 (사례 중심)

  • 하도급/원하청 구조: 원청이 근로조건 실질 통제 시 사용자 책임 가능. (출처 [1])
  • 경영상 의사결정: M&A, 구조조정 등 노동쟁의 대상 포함 가능성 확대. (출처 [1])
  • 손배소/가압류: 정당한 노조 활동 보호, 개인별 책임·감면 가능. (출처 [1])

5) 이해관계자별 영향

노동자·노조

  • 비정형 고용 단결권 강화
  • 원청 대상 직접 교섭 확대
  • 손배 리스크 완화

기업·원청

  • 공급망 사용자성 리스크 증가
  • 경영상 결정 관련 쟁의 가능성 확대
  • 분쟁 예방 위한 체계 정비 필요

기업·재계는 “투자 위축·산업 현장 혼란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출처 [5])

6) 주요 찬반 논거

  • 찬성: 과도한 손배 억제, 비정형 보호, 책임 구조 명확화 (출처 [6])
  • 반대: 파업 조장, 투자 위축, 경영권 제약 우려 (출처 [7])

7) 타임라인

  1. 2023~2024: 본회의 통과 후 대통령 거부권으로 무산 (출처 [4])
  2. 2025-07-28: 환노위 통과 (출처 [1], [2])
  3. 2025-08-23: 본회의 상정·필리버스터 대치 (출처 [3])

8) 자주 묻는 질문(FAQ)

Q1. ‘합법 파업’만 보호하나요?

환노위 개정안은 ‘기타 노조 활동’도 손배 청구 제한 대상으로 포함됩니다. (출처 [1])

Q2. 바로 시행되나요?

공포 후 6개월 경과 시 시행될 전망입니다. (출처 [1])

Q3. 원청은 언제 ‘사용자’가 되나요?

근로조건에 실질적·구체적 지배력이 있는 경우 해당 범위에서 사용자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1])

Q4. 경영상 결정엔 무엇이 포함되나요?

합병, 분할, 인수·합병, 이전, 구조조정 등이 명시적으로 포함됩니다. (출처 [1])

9) 출처

  1. [1] Kim & Chang, “Yellow Envelope Act passes the National Assembly’s Environment and Labor Committee” (2025-07-31)
  2. [2] Yulchon (Lexology), “노란봉투법, 환노위 전체회의 통과 – 주요 내용과 전망” (2025-07-29)
  3. [3] 연합뉴스TV / 매일경제 등, “노란봉투법 본회의 상정·필리버스터 중” (2025-08-23)
  4. [4] 노동자 연대 보도, “노란봉투법 환노위 통과 후 본회의까지 전개” (2025-07-29)
  5. [5] The Korea Herald, “Yellow Envelope Law, National Assembly Review Begins...” (2025-08-01 이상)
  6. [6] 경향신문 논평 등 찬성 측 입장
  7. [7] 조선일보 등 반대 측 보도

면책: 본 문서는 공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된 정보 제공용 가이드입니다. 최종 법 문구 및 시행세부사항은 본회의 통과 및 공포 후 확정됩니다.

반응형